-
JBIC (Jira Bug Issue Crawler)에 대하여Projects/JBIC (Jira Bug Issue Crawler) 2020. 2. 9. 23:35
배경
우리 ISEL 연구실에서는 bug prediction model을 만들고 있다.
bug prediction model을 만들기 위해서는 software repository에서 Bug Fixing Commit (BFC)을 mining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오픈소스에서 BFC를 mining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repository의 commit message를 이용한다. 하지만 Apache project와 같이 체계적으로 issue 관리를 하는 오픈소스의 경우 Jira와 같은 ITS (Issue Tracking System)를 이용하기 때문에 ITS로부터 BFC에 대한 정보를 가져와야 한다.
그래서 교수님께서 Jira에서 Bug가 Fix된 Issue key를 가져오는 프로그램 제작을 내게 맡기셨다.
개발 기간
2019. 07. 09 ~ 2019. 07. 21
JBIC 사용법
JBIC는 Java CLI 프로그램이다.
input과 output은 각각 아래와 같다.
- Input
1. JIRA domain (-d option)
아래는 hadoop의 jira url이다.
https://issues.apache.org/jira/projects/HADOOP/issues/HADOOP-16836?filter=allopenissues
JIRA domain이란 이 중 issues.apache.org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2. JIRA project key (-p option)
JIRA로 issue tracking을 할 경우 project 마다 아래와 같이 고유한 key값을 가진다.
3. path (optional, -D option)
output인 csv 파일이 저장되는 위치를 지정하면 해당 directory에 저장된다.
4. Input 예시
-d issues.apache.org -p HADOOP
-d issues.apache.org -p HADOOP -D /Users/kimsukjin/Dropbox/19SpringSemester
- Output
Fix된 Bug들의 issue key를 모은 csv 파일
Github
https://github.com/HGUISEL/JiraCrawler
HGUISEL/JiraCrawler
Contribute to HGUISEL/JiraCrawl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Projects > JBIC (Jira Bug Issue Crawl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JBIC를 개발하며 배우고 성장한 점들 (0) 2020.02.16